728x90
반응형
css에서 정말 자주 사용하는 flex!
오늘은 flex 속성 2탄!
자주 헷갈리는 justify-content와 align-items 속성의 개념 정리하기
flex 컨테이너 내부 아이템들을 어떻게 정렬할지를 결정하는 justify-content와 align-items !
justify-content: 주축에 대한 정렬
justify-content 속성은 flex 컨테이너 내의 아이템들을 주축(main axis)을 따라 어떻게 정렬할지를 결정한다.
주축은 디폴트가 수평 방향(flex-direction: row)임
See the Pen Untitled by 김두희 (@ctpfpijl-the-looper) on CodePen.
- flex-start: 아이템들을 주축의 시작 부분으로 정렬 (기본값)
- flex-end: 아이템들을 주축의 끝 부분으로 정렬.
- center: 아이템들을 주축의 가운데로 정렬
- space-between: 첫 번째 아이템은 주축의 시작 부분에, 마지막 아이템은 끝 부분에 배치하고 나머지 아이템들은 사이에 고르게 배치
- space-around: 아이템들 사이에 고르게 여백을 두고, 시작과 끝에도 반만큼의 여백을 둠
- space-evenly: 아이템들 사이에 고르게 여백을 두고, 시작과 끝에도 동일한 여백을 둠
align-items: 교차 축 에 대한 정렬
align-items 속성은 flex 컨테이너 내의 아이템들을 교차 축(cross axis)을 따라 어떻게 정렬할지를 결정한다.
교차 축은 주축에 수직인 방향
See the Pen Untitled by 김두희 (@ctpfpijl-the-looper) on CodePen.
- flex-start: 아이템들을 교차 축의 시작 부분으로 정렬
- flex-end: 아이템들을 교차 축의 끝 부분으로 정렬
- center: 아이템들을 교차 축의 가운데로 정렬
- stretch: 아이템들을 교차 축을 따라 늘려서 컨테이너에 맞춤 (기본값)
- baseline: 아이템들을 텍스트 기준선(baseline)에 맞춰 정렬
-끝-
728x90
반응형
'HTML&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/CSS] 애니메이션(@keyframes) (0) | 2024.07.25 |
---|---|
[HTML/CSS] CSS Vendor Prefixes 란? (3) | 2024.07.21 |
[HTML/CSS]Flexbox: 헷갈리기 쉬운 flex-basis, flex-grow, flex-shrink 속성 정리 (0) | 2024.07.20 |
[HTML/CSS]스크롤 시 상단에 고정하고 싶다면? position: sticky 사용하기! (0) | 2024.07.19 |
[HTML/CSS] show/hide, fade in/fade out 구현하기 (0) | 2024.07.18 |